블로그 이미지
Every unexpected event is a path to learning for you. blueas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797)
Unity3D (853)
Programming (479)
Server (33)
Unreal (4)
Gamebryo (56)
Tip & Tech (185)
협업 (61)
3DS Max (3)
Game (12)
Utility (68)
Etc (98)
Link (32)
Portfolio (19)
Subject (90)
iOS,OSX (55)
Android (14)
Linux (5)
잉여 프로젝트 (2)
게임이야기 (3)
Memories (20)
Interest (38)
Thinking (38)
한글 (30)
PaperCraft (5)
Animation (408)
Wallpaper (2)
재테크 (18)
Exercise (3)
나만의 맛집 (3)
냥이 (10)
육아 (16)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http://crampstory.tistory.com/29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

참고서적 : 유닉스 리눅스 프로그래밍 필수 유틸리티 : vi, make, gcc, gdb, cvs, rpm


1. 우선 컴파일 시에 디버깅 정보를 담아야 한다.
 gcc -g -o [프로그램명] [소스파일명]
 디버깅 옵션인 -g 으로 컴파일하며, 최적화 옵션인 -O 은 주지 않도록 한다.

2. 실행방법
 gdb [프로그램명]
 gdb [프로그램명] [core파일명]
 gdb [프로그램명] [실행중인프로세스pid]


3. 종료방법
 q
 Ctrl + d

4. 소스 찾아가기 (list)
 l   : main 함수를 기점으로 소스의 내용이 출력된다
 l 10  : 10 행 주변의 소스가 출력되는데 10 - 5 행부터 10 + 5행까지 총 10행이 출려된다.
 l func  : func 함수의 소스를 출력
 l -5  : 기본값으로 10줄이 출력된다고 가정하고, 다음에 출력될 라인이 11라인이라면, 10(마지막라인) - 5 라인을 중심으로 출력된다. 즉, 그대로 1~10라인이 출력된다.
 l a.c:func : a.c 파일의 func 함수부분을 출력
 l a.c:10 : a.c 파일의 10행을 기준으로 출력

5. 옵션
 set listsize 20 : 한번에 출력하는 행의 갯수를 20개로 늘린다.
 Enter  : 마지막으로 수행한 명령어를 다시 수행한다

6. 프로그램 실행, 종료 (run, kill)
 r   : 프로그램 수행 (재시작)
 r arg1 arg2 : arg1과 arg2를 인자로 프로그램 수행
 k   : 프로그램 수행종료

7. 역추적하기 (backtrace)
 bt   : 오류가 발생한 함수를 역으로 찾아간다.

8. 중단점 사용하기 (breakpoint, temporary breakpoint)
 b func  : func 함수에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b 10  : 10행에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b a.c:func : a.c파일의 func함수에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b a.c:10 : a.c파일의 10행에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b +2  : 현재 행에서 2개 행 이후 지점에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b -2  : 현재 행에서 2개 행 이전 지점에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b *0x8049000 : 0x8049000 주소에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어셈블리로 디버깅 시 사용)
 b 10 if var == 0 : 10행에 브레이크 포인트를 설정해되, var 변수 값이 0일 때 작동
 tb   : 임시 중단점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번만 설정되며, 그 이후에는 삭제된다.

9. 중단점 설정하기 (condition)
 condition 2 var == 0 : 고유번호가 2번인 브레이크포인트에 var변수가 0일 때 동작하라고 설정

10. 중단점 삭제하기 (clear, delete)
 cl func  : func 함수의 시작 부분에 브레이크 포인트 지움
 cl 10  : 10행의 브레이크 포인트 지움
 delete 1 : 고유번호 1번의 브레이크 포인트를 지운
 cl a.c:func : a.c 파일의 func함수의 브레이크 포인트 지움
 cl a.c:10 : a.c 파일의 10행의 브레이크 포인트 지움
 cl   : 모든 브레이크 포인트 지움 
11. 중단점 정보보기 (information)
 info b  : 현재 설정된 브레이크 포인트의 정보를 보여준다
 방향키Up/Down : 방향키 Up/Down을 누르면 히스토리 기능을 제공한다
 info br + TAB : info br 로 시작하는 키워드가 히스토리에 있다면 뿌려준다
 info TAB + TAB : info 뒤에 올 수 있는 인자 리스트를 보여준다
 TAB + TAB  : 현재 사용가능한 모든 명령어 리스트를 보여준다

12. 중단점 비활성화, 활성화 하기 (enable, disable)
 disable 2 : 고유번호 2번인 브레이크 포인트 비활성화
 enable 2 : 고유번호 2번인 브레이크 포인트 활성화

13. 디버깅 하기 (step, next, continue, until, finish, return, step instruction, next instruction)
 s  : 현재 출력된 행을 수행하고 멈추지만, 함수의 경우 함수의 내부로 들어가서 수행된다
 s 5  : s를 5번 입력한 것과 동일
 n  : 현재 행을 수행하고 멈추지만, 함수의 경우 함수를 수행하고 넘어간다
 n 5  : n을 5번 입력한 것과 동일
 c  : 다음 브레이크 포인트를 만날때 까지 계속 수행한다
 u  : for 문에서 빠져나와서 다음 브레이크 포인트까지 수행한다.
 finish : 현재 함수를 수행하고 빠져나감
 return : 현재 함수를 수행하지 않고 빠져나감
 return 123 : 현재 함수를 수행하지 않고 빠져나감, 단, 리턴값은 123
 si  : 현재의 인스트럭션을 수행, 함수 호출 시 내부로 들어간다.
 ni  : 현재의 인스트럭션을 수행, 함수 호출 시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다.

14. 감시점 설정 (watch)
 watch i : i변수에 와치포인트를 설정하고 i변수가 바뀔 때마다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이전값과 현재값을 출력한다.

15. 변수 정보보기 (info, print)
 info locals : 현재 상태에서 어떤 지역변수들이 있으며, 값은 어떠한지를 알 수 있다.
 info variables : 현재 상태에서의 전역변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p lval  : lval 값을 확인한다.
 p func  : func 함수의 주소값을 확인한다.
 p pt  : pt가 구조체라면 구조체의 주소를 확인한다
 p *pt  : pt가 구조체라면 구조체의 값을 확인한다.
 p **pt  : *pt가 구조체라면 구조체의 값을 확인한다.
 info registers : 레지스트 값 전체를 한번에 확인한다.

16. 레지스트 값 및 포인터가 가리키는 구조체의 배열을 출력 (info, print)
 info all-registers : MMX 레지스트를포함하여 거의 대부분의 레지스트 값을 확인한다.
 p $eax  : eax 레지스트의 값을 확인한다. ( ex_ eax, ebx, ecx, edx, eip ) 
 p *pt@4  : 4크기의 배열로 gdb가 알 수 있으므로 4개의 크기만큼 가져와서 확인할 수 있다.

17. 중복된 변수명이 있는 경우 특정 변수를 지정해서 출력 (print)
 p 'main.c'::var : main.c 파일에 있는 전역변수인 var 변수의 값을 출력
 p hello::var : hello 함수에 포함된 static 변수인 var 변수의 값을 출력

18. 출력 형식의 지정
 p/t var : var 변수를 2진수로 출력
 p/o var : var 변수를 8진수로 출력
 p/d var : var 변수를 부호가 있는 10진수로 출력 (int)
 p/u var : var 변수를 부호가 없는 10진수로 출력 (unsigned int)
 p/x var : var 변수를 16진수로 출력
 p/c var : var 변수를 최초 1바이트 값을 문자형으로 출력
 p/f var : var 변수를 부동 소수점 값 형식으로 출력
 p/a addr : addr주소와 가장 가까운 심볼의 오프셋을 출력 ( ex_ main + 15 )

19. 타입이 틀릴 경우 타입을 변환하여 출력
 p (char*)vstr : 실제 컴파일 시에 (void *)형으로 되어있었다고 하더라도 (char *)로 캐스팅 하여 보여줌

20. 특정한 위치 지정
 p lstr + 4 : 예를 들어 lstr = "I like you." 라는 문자열은 "ke you."가 출력된다.

21. 변수 값 설정
 p lval = 1000 : 변수값 확인 이외에는 설정도 가능하다.

22. 출력명령 요약 (print)
 p [변수명]    : 변수 값을 출력
 p [함수명]    : 함수의 주소를 출력
 p/[출력형식] [변수명] : 변수 값을 출력 형식으로 출력
 p '[파일명]'::[변수명] : 파일명에 있는 전역변수 값을 출력
 p [함수명]::[변수명] : 함수에 있는 변수 값을 출력
 p [변수명]@[배열크기] : 변수의 내용을 변수 배열의 크기 형태로 출력

23. 디스플레이 명령 (display, undisplay)
 display [변수명]  : 변수 값을 매번 화면에 디스플레이
 display/[출력형식] [변수명] : 변수 값을 출력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undisplay [디스플레이번호] : 디스플레이 설정을 없앤다
 disable display [디스플레이번호] : 디스플레이를 일시 중단한다.
 enable display [디스플레이번호] : 디스플레이를 다시 활성화한다.

24. 스택이란
 스택의 경우는 상위 1기가는 커널에서 사용하며, 그 바로 아래 공간인 상위 0xBFFFFFFF 부터 하위로 늘어나게된다.
 상세한 디버깅을 위해서는 -g 옵션으로 디버깅 정보와 --save-temps 옵션을 통해 어셈블리 코드를 얻어낼 수 있다.
 상위 프레임으로 갈 수록 메인 함수에 가까워 지는 것이다.

25. 스택 프레임 관련 명령 (frame, up, down, info)
 frame [N] : n번 스택 프레임으로 변경
 up   : 상위 프레임으로 이동
 up [N]  : n번 상위 스택 프레임으로 이동
 down  : 하위 프레임으로 이동
 down [N] : n번 하위 스택 프레임으로 이동
 info frame : 현재 스택 프레임 정보를 출력
 info args : 현재 스택 프레임의 함수가 호출될 때 인자를 출력
 info locals : 현재 스택 프레임의 함수내의 지역변수를 출력
 info catch : 현재 스택 프레임의 함수내의 예외 핸들러를 출력

26. 스택 트레이스 하는법
 b main 또는 원하는 곳에 브레이크 포인트를 잡고
 오류가 발생할 때 까지 c를 통해 진행하면, 세그먼트 폴트 등의 오류가 발생하고 디버그가 멈추는데
 여기서 bt 를 통해서 전체 스택 프레임을 확인하고 어떤 함수에서 호출시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확인
 단, 일반적인 라이브러리에서는 오류발생 확률이 없다고 보고, 그 함수를 호출시에 문제를 의심한다.
 다시 프레임을 이동하면서, 로컬변수와 전역변수 등을 확인하면서 디버깅이 가능하다.

27. 메모리 상태 검사 (x)
 x/[범위][출력 형식][범위의 단위] : 메모리의 특정 범위의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메모리를 직접 읽어보는 일은 -g 옵션을 가지고 컴파일 되지 않은 실행파일을 디버깅 할때에 자주 사용된다.
 즉, x/10i main 과 같이 역 어셈블하여 해당 코드를 추측하는 것이다.

28. 출력형식
 x/10 main : main 함수 시작부터 40바이트를 출력한다. 출력형식은 다음과 같다.
 x/10t main : main 함수 시작부터 40바이트를 2진수로 출력
 x/10o main : main 함수 시작부터 40바이트를 8진수로 출력
 x/10d main : main 함수 시작부터 40바이트를 부호가 있는 10진수로 출력 (int)
 x/10u main : main 함수 시작부터 40바이트를 부호가 없는 10진수로 출력 (unsigned int)
 x/10x main : main 함수 시작부터 40바이트를 16진수로 출력
 x/10c main : main 함수 시작부터 40바이트를 최초 1바이트 값을 문자형으로 출력
 x/10f main : main 함수 시작부터 40바이트를 부동 소수점 값 형식으로 출력
 x/10a main : 가장 가까운 심볼의 오프셋을 출력
 x/10s main : 문자열로 출력
 x/10i main : 어셈블리 형식으로 출력

29. 범위의 단위 (기본 word - 4바이트)
 x/10b main : byte - 1바이트 단위 - 10바이트 출력
 x/10h main : halfword - 2바이트 단위 - 20바이트 출력
 x/10w main : word - 4바이트 단위 - 40바이트 출력
 x/10g main : giant word - 8바이트 단위 - 80바이트 출력

30. 디스어셈블링 (disas)
 disas func : 어셈블리 코드를 좀 보편적으로 보기 위한 명령어
 disas 0x8048300 0x8048400 : 특정 주소 범위사이의 어셈블리 코드를 보기

31. 함수호출 (call)
 call func(arg1, arg2) : 특정함수 func를 arg1, arg2 파라메터를 포함하여 호출하고, 반환값은 출력

32. 점프 (jump)
 jump *0x08048321 : 해당 주소로 무조건 분기하여 인스트럭션을 계속 수행한다.
 jump 10  : 무조건 10행으로 분기하여 수행한다.
 jump func : func 함수로 무조건 분기하여 수행한다.

33. 시그널 전송 (signal)
 info signals : 보낼 수 있는 시그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signal SIGKILL : 디버깅 대상의 프로세스에게 KILL 시그널을 보낼 수 있다.

34.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값을 설정 ( set )
 set {타입}[주소] = [값] : p 명령 대신에 set 을 통해서 메모리의 특정 주소에 저장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set {int}0x8048300 = 100 : 해당 주소에 100의 값을 입력한다.

35. gdb 환경설정 (set)
 info set : 변경 가능한 환경설정 정보를 출력한다.
 info functions : 함수들의 리스트를 출력
 info types  : 선언된 타입에 대한 리스트를 출력
 set prompt psyoblade: : 프롬프트를 psyoblade: 로 변경할 수 있다.
 set print array on : 배열을 출력할 때 한 행에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행에 출력한다.

36. 기타 info 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들
 address         catch           extensions      handle          objects         set             stack           tracepoints
 all-registers   common          files           heap            program         sharedlibrary   symbol          types
 architecture    copying         float           leaks           registers       signals         target          variables
 args            dcache          frame           line            remote-process  source          terminal        warranty
 breakpoints     display         functions       locals          scope           sources         threads         watchpoints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실무  (0) 2012.03.18
리눅스 스케쥴  (0) 2012.03.12
서버 백업하기 crontab  (0) 2012.03.12
Posted by blueasa
, |
1. cp 활용 개론

 - 사용형식 : cp [ 옵션 ] 원본파일 복사파일
                      cp [ 옵션 ] 원본파일( 디렉토리 ) 디렉토리

 - mv 와  cp 명령어의 차이점 : mv 명령어는 복사하고 난 후에 원본파일이 지워지게 된다.


 2. 디렉토리전체를 복사하는 방법

 - cp 명령어의 -r 옵션과 -R 옵션은 지정한 디렉토리내의 하위디렉토리들까지 모두 복사된다는 점에서 동일함. 하지만 -r 옵션이 파일복사에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그냥 복사만 됨.

 - cp -r TestDir1 TestDir2


 3. 원본파일의 소유자, 그룹소유자, 권한, 시간정보등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복사하기

 - cp 명령어는 실행한 사용자의 umask 값에 따라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퍼미션이 결정됨.

 - 특정 디렉토리를 원본 디렉토리와 그 안에 있는 파일들의 소유자, 그룹, 권한, 시간정보등을 원본과 동일하게 복사하려면 cp 명령어를 사용할 때에 -rp 옵션을 함께 사용해야 함.

 - cp -rp TestDir1 TestDir2


 4. 복사 명령어 cp 의 다양한 복사방법들

 - -a 옵션 : 복사대상 원본파일의 속성( attribution ) 과 링크정보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복사하는 옵션임. cp 명령어 사용시 -dpR 옵션을 함께 사용한 것과 같은 역할을 함.

 - -b 옵션 : 복사하고자 하는 파일이 동일한 이름으로 이미 그 위치에 존재하고 있을 경우, 덮어쓰기 또는 원본을 지우고 복사할 경우에 원본파일의 복사본을 만들어 둠.

 - -f 옵션 : 복사대상파일이 이미 그 위치에 존재한다면 파일을 지우고 복사함.

 - -i 옵션 : 복사대상파일이 이미 그 위치에 존재한다면 덮어쓸 것인가 또는 복사하지 않을 것인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절차를 거침.

 - -P 옵션 : 복사대상이 되는 원본파일이 디렉토리경로와 함께 지정되었을 경우에 지정된 디렉토리경로를 그대로 복사함. 이 경우 원본파일은 Dir1/SubDir1/SubDir2/FileName 등과 같이 디렉토리 경로와 함께 지정이 되어야 함.

 - -u 옵션 : 
복사되는 원본파일의 이름과 동일한 파일이 대상위치에 존재할 경우에 원본파일과 변경날짜를 비교하여 최신파일일 경우에 복사하지 않는 옵션임.


 5. 관리자 전용 복사명령어 install 활용하기

 - cp 명령어와 유사한 명령이지만 cp 명령어에 비해 다양한 복사 옵션들이 있다는 점이 좀 특이함

 - 사용형식 : install [ 옵션 ] [ -s ] [ --strip ] 원본파일 복사파일
                      install [ 옵션 ] [ -s ] [ --strip ] 파일..... 디렉토리
                      install [ 옵션 ] [ -d, --디렉토리 ] 디렉토리...


 6.  사용가능한 옵션들

 - -c : 전통 유닉스 버전과 호환을 위한 옵션으로 별다른 의미는 없음.

 - -d, --diectory : 지정한 파일이 복사될 경로를 지정하는 옵션으로서 만약 지정한 경로명의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직접 만들어서 복사를 함.

 - -g, --group group :  지정한 파일 복사시에 이 옵션으로 지정한 소유그룹을 복사되는 파일의 소유그룹으로 설정함.

 - -m, --mode mode : 지정한 파일 복사시에 이 옵션으로 지정한 퍼미션을 복사되는 파일의 퍼미션으로 설정함.

 - -o, --owner owner : 지정한 파일 복사시에 이 옵셔으로 지정한 소유자를 복사되는 파일의 소유자로 설정함.

 - -s, --strip : 지정한 파일복사시에 이 옵션이 사용되면 strip 명령을 수행함. 심볼릭테이블이 삭제되므로 파일의 크기가 줄어듬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b 를 통한 디버깅 따라하기  (0) 2012.06.15
리눅스 스케쥴  (0) 2012.03.12
서버 백업하기 crontab  (0) 2012.03.12
Posted by blueasa
, |

리눅스 스케쥴

Linux / 2012. 3. 12. 16:09

특정 실행파일을 생성한 후 crontab에 해당 실행파일 등록


스케줄 시간별로 실행


CRONTAB 사용방법은 아래와 같음



1. 사용자별 crontab -e 

- 스케줄은 작동되나 sh 파일이 실행이안됨.. permission문제일 확률이 높으나 error log도 안찍힘


2. /etc/crontab 파일에 등록

- 정상적으로 동작...


3. cron 실행 로그는

#cd /var/log 

#tail -f cron




// =================================================================================== //

crontab은 시스템의 관리에서 빠질 수 없는 가장 중요한 데몬중의 하나인 cron과 직접적인 관련 있는 명령어입니다.

관리자 , 일반사용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작업을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crontab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ron 데몬이 구동되어야 하며, 시스템 크론 설정 파일들에서

 

- cron데몬파일 : /usr/sbin/cron

- cron데몬의 시작/종료/재시작 : /etc/init.d/cron [start/stop/restart]

- cron 실행확인 : ps -ef | grep cron <- cron데몬파일(/usr/sbin/cron)



 

설정은 방법은 여러가지고 있을 수 있으나, 보통 두가지 방법으로 사용 합니다.

1.     /etc/crontab 파일을 에디터를 통해 직접적인 수정

2.    사용자별 cron 설정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time server를 통한 하루에 한번씩 동기화 이루어지게끔 하는 설정 내용입니다.

 vi /etc/crontab

 

 =============================

SHELL=/bin/bash
PATH=/sbin:/bin:/usr/sbin:/usr/bin
MAILTO=root
HOME=/

# run-parts
01 * * * * root run-parts /etc/cron.hourly
02 4 * * * root run-parts /etc/cron.daily
22 4 * * 0 root run-parts /etc/cron.weekly
42 4 1 * * root run-parts /etc/cron.monthly
00 1 * * * root rdate -s time.bora.net && hwclock -w

==============================

 

위 내용은 01시 00분에 매일 rdate –s time.bora.net && hwclock –w 이라는 명령을 실행하게끔 설정을 추가 한 상태입니다.

 

위와 같이 crontab에는 /etc/cron.hourly, /etc/cron.daily, /etc/cron.weekly, /etc/cron.monthly,에 대한

정의가 기본적으로 되어 있습니다. 해당 내용이 의미하는 바는 아래에 필드 형식에 대한 설명을 보시면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일 단위, 주 단위, 년 단위의 크론 설정파일들이 각각 존재하여 해당 파일의 명령을 각 파일이 의미하는 시간 주기로 크론들을crontab에서 실행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설정 형식에 대해서는 아래 사용자 크론 내용에서 설명 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크론과 다른 점이라면, 시간 뒤에 사용권한(user명)을 명시해주어야 합니다.

 

사용자 크론 설정

Crontab –l :  해당 계정의 crontab에 설정된 내용을 출력

  

======================

 [root@amam ~]# crontab -l
00 1 * * * rdate -s time.bora.net && hwclock -w

==================== 

Crontab –e : crontab 내용을 작성 또는 수정(vi editer가 실행 되어 작성)

해당 작성 및 수정한 내용은 /var/spool/cron/ 아래에 계정명으로 생성 됩니다.

생성 된 파일을 확인해보면 추가 한 내용들이 존재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Crontab –r : crontab 내용을 삭제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하게 되며, 필드의 구분은 space(띄어쓰기) 입니다.

------    --------  ---------------------------------------------------
필  드    의  미    범  위
------    --------  ---------------------------------------------------
첫번째    분        0-59
두번째    시
        0-23
세번째    일
        0-31
네번째    월
        1-12
다섯번째  요일      0-7 (1=월, 2=화.. ~ 순으로 0과7은 일요일을 의미
)
여섯번째  명령어    실행할 명령을 나눠쓰지 않습니다.(한줄에 하나씩
)
------    --------  ---------------------------------------------------


시간에서 * 은 모든 시간을 의미.

10-20 와 같이 범위 지정 가능.

3,5,7 각각의 날자 또는 시간 지정 가능

- 1-10/5와 같이 하이픈(-)으로 시간 범위를 슬래쉬(/)로 시간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
  (5의 간격으로 1~10까지 즉 5,와10을 의미)

 

해당 내용은  crontab에 대한 사용방법에 대한 내용만 다루었습니다.

 

crontab은 로그 삭제 하는 백업 진행하는 등의 시스템 관리에 중요한 명령입니다.

스크립트를 만들어 등록하는 등의 방법으로 백업은 다양한 작업을 cron을 통해 수행하실 수 있습니다.


// ================================================================================== //


아래 출처 : http://luckys.tistory.com/162


crontab 은 윈도우의 스케줄러와 같은 역할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CRONtab

 

crontab -l

-> 현재 crontab에 등록된 작업보기

 

crontab -e

-> crontab 편집하기

 

 

------------------------------------------------------------------------------------

 

CRONtab

/etc/cron, /usr/spool/cron/crontabs/*<x xml:namespace="xml:namespace" prefix="o" ns="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x><x-o:p></x-o:p>

/etc/cron" 프로그램  주기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는데 사용된다. <x-o:p></x-o:p>

이때  주기적으로 수행되어질 프로그램은 "/usr/spool/cron/crontabs" 디렉토리<x-o:p></x-o:p>

밑에  사용자의 사용자명과 같은 이름으로 생성된다.<x-o:p></x-o:p>

 화일은 만드는 방법은 아래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x-o:p></x-o:p>

        % crontab -l root  : /var/spool/cron/crontabs/root 내용 display<x-o:p></x-o:p>

        % crontab -e root  :<x-o:p></x-o:p>

            명령을 root 수행했으면 /var/spool/cron/crontabs/ DIR 하위에<x-o:p></x-o:p>

           "root" 라는 이름의 화일이 생성된다)<x-o:p></x-o:p>

           또는 vi  편집<x-o:p></x-o:p>

--------------------------------------------------------------------------------<x-o:p></x-o:p>

)<x-o:p></x-o:p>

# more /var/spool/cron/crontabs/root<x-o:p></x-o:p>

# minute   hour   day   month   week<x-o:p></x-o:p>

# 0~59     0~23   1~31  1~12    0~6  (0=sunday, 1=monday)<x-o:p></x-o:p>

#<x-o:p></x-o:p>

15,45 3 * * * find / -name .nfs\* -mtime +7 -exec rm -f {} \; -o -fstype nfs -prune<x-o:p></x-o:p>

5 9 * * 6 /usr/lib/newsyslog >/dev/null 2>&1<x-o:p></x-o:p>

15 0,8 16 * * find /var/preserve/ -mtime +7 -a -exec rm -f {} \;<x-o:p></x-o:p>

--------------------------------------------------------------------------------<x-o:p></x-o:p>

  crontab 화일의  앞의 5번째 칼럼까지에는  명령이 수행되어질 일시와 요일이다.<x-o:p></x-o:p>

  지정한 것들은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x-o:p></x-o:p>

         시간 날짜  요일 : 구분은 Space<x-o:p></x-o:p>

        15,45 3 * * *  매일 3 15분관 45분에 수행<x-o:p></x-o:p>

        5 9 * * 6      매주 금요일 9 5분에 수행<x-o:p></x-o:p>

        15 1,18 16 * * : 매달 16 115분과 오후 6 15분에 수행<x-o:p></x-o:p>

 <x-o:p></x-o:p>

1) /var/spool/cron/crontabs/root (root계정으로 가정할때..)<x-o:p></x-o:p>

    파일을 편집하여 원하는 스케쥴을 설정/편집 한다.<x-o:p></x-o:p>

2) ps -ef|grep cron      현재 cron deamon 돌고 있는지 확인<x-o:p></x-o:p>

3) kill -9 "pid of cron"   : cron deamon kill<x-o:p></x-o:p>

4) rm /usr/lib/cron/FIFO  : lock파일제거(/usr/lib/cron directory /etc/cron.d 링크되어있음)<x-o:p></x-o:p>

5) /usr/sbin/cron         : deamon 재실행( 편집한 명령대로 수행함)<x-o:p></x-o:p>

 <x-o:p></x-o:p>

   ) vi /var/spool/cron/crontabs/root

       ###############################<x-o:p></x-o:p>

       #Min Hour Day Month Day Command<x-o:p></x-o:p>

       ###############################<x-o:p></x-o:p>

       15 4 * * * find /var/preserve/ -mtime +7 -a -exec rm -f {} \;

       0 23 * * * sh `sed -n 1p /etc/Alis`/janitor

       0 * * * * /usr/lib/acct/ckpacct

       10 12 * * 1-6 /usr/lib/acct/dodisk

       20 12 1 * * /usr/lib/acct/monacct

       30 12 * * 1-6 /usr/lib/acct/runacct 2> /var/adm/acct/nite/fd2log

 <x-o:p></x-o:p>

 log /var/cron/.....  생성됨

 

 

------------------------------------------------------------------------------------

 

1. 개요 (cron이 뭐하는 것인지 전혀 모르는 분들만)

cron(크론)은 원하는 시간에 명령(프로그램)을 시키기 위한 데몬이다.
서버는 늘 깨어있다는 것을 이용한 최대한의 활용법이 될 수 있다.

- 내가 새벽 3시에 서버에 특정 작업을 해줘야하는데 그 때 깨어있을 수 있는가?
- 또는 30분간격으로 HDD의 사용량을 운영자에게 알리도록 해야한다면?
- 매월 초에 자료를 백업 받고 싶다면?

바로 이럴 때 cron은 최고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cron은 항상 지정한 시간이 되었는지 확인을 하여 해당 명령어을 실행하는 것이다.

2. cron 설정

1) crontab 파일 위치 및 조회

작업 설정 파일을 crontab 파일이라고 부르며, 이 파일의 위치는 OS별로 차이가 있다.
리눅스는 /var/spool/cron/ID, 솔라리스는 /var/spool/corn/crontabs/ID 에 위치한다.
그럼 이 파일을 직접 수정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crontab 명령을 통해 설정과 조회를 한다.

설정 내용을 조회해 보자. (-l 옵션)


crontab -l
no crontab for truefeel


설정한 적이 없어 아직 비어있다.

2) crontab 파일 형식


------    --------  ---------------------------------------------------
필  드    의  미    범  위
------    --------  ---------------------------------------------------
첫번째    분        0-59
두번째    시        0-23
세번째    일        0-31
네번째    월        1-12
다섯번째  요일      0-7 (0 또는 7=일요일, 1=월, 2=화,...)
여섯번째  명령어    실행할 명령을 한줄로 쓴다.
------    --------  ---------------------------------------------------


- 한 줄당 하나의 명령 (두줄로 나눠서 표시할 수 없음)
- # 으로 시작하는 줄은 실행하지 않는다.

설정을 해보자. (-e 옵션)
crontab -e 을 하면 vi 에디터가 나온다.(환경변수 EDITOR에 따라 다른 에디터를 사용할 수 있다.)

crontab -e
# /home 디렉토리를 /BACKUP/home 으로 백업해둠
#
# 30분, 새벽 4시와 낮 12시, 모든 일, 모든 월, 모든 요일 
30 4,12 * * *  /usr/bin/rsync -avxH --delete /home /BACKUP/home > /dev/null 2>&1
#
# 파일/디렉토리 퍼미션 설정
# 40분, 새벽 1시, 매주 일요일
40 1    * * 0  /root/bin/perm_set.sh   > /dev/null 2>&1



위는 매일 4:30분과 12:30분에 rsync 명령을, 매주 일요일 1:40분에 perm_set.sh를 실행함을 의미한다.

vi 에디터를 통해 설정을 하므로 중요한 몇 가지 에디터 사용법은 익혀야 한다.

----  -----------------------------------------------------------------------------
키    의미
----  -----------------------------------------------------------------------------
i     현재 칸에 글을 넣는다.
o     다음줄에 글을 넣는다.
dd    한줄을 삭제한다.
:wq   저장하고 빠져나온다.
ESC   설정중에 명령어 모드(위의 i, o, dd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빠져 나온다.
----  -----------------------------------------------------------------------------


3) 설정 예

시간 설정에서 몇가지 의미있는 것들을 알아보자.

- '*'표시는 해당 필드의 모든 시간을 의미한다.
- 3,5,7 와 같이 콤마(,)로 구분하여 여러 시간대를 지정할 수 있다.
- 2-10와 같이 하이픈(-)으로 시간 범위도 지정할 수 있다.
- 2-10/3와 같이 하이픈(-)으로 시간 범위를 슬래쉬(/)로 시간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
(2~10까지 3간격으로. 즉, 3,6,9를 의미함)


              
원하는 시간 형  식
  매주 토요일 새벽 2:20   20  2     *  *  6  명령어
  매일 오후 4,5,6시   0  4-6   *  *  *  명령어
  매일 2시간간격으로 5분대에   5  */2 *  *  * 명령어
  매월 1일 새벽 1:15   15  1   1  *  *  명령어
  1,7월 1일 새벽 0:30   30  0   1  1,7  *  명령어



3. FAQ

1) cron 설정한 후에는 crond 데몬을 재실행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crontab -e 으로 설정 후 빠져나오면 바로 적용됩니다.

2) truefeel 사용자는 cron을 못 쓰게 하고 싶습니다.

  /etc/cron.allow : 허용할 사용자 ID 목록
  /etc/cron.deny  : 거부할 사용자 ID 목록

  cron.allow 파일이 있으면 이 파일에 들어있는 ID만 사용 가능
  cron.deny  파일이 있으면 이 파일에 들어있는 ID는 사용 불가

  따라서 cron.deny에 truefeel ID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3) > /dev/null  2>&1 이 무슨 뜻입니까?

  지정한 명령어 처리 결과와 발생할지 모르는 에러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모두 버린다는(/dev/null)는
  뜻입니다. 만약 결과와 에러를 파일로 저장하려면 /dev/null 대신 파일명을 적어주면 됩니다.



출처2 : http://www.ip6.co.kr/?mid=linux_skil&document_srl=511&sort_index=readed_count&order_type=desc


아래글은 " 리눅스 실무명령어 바이블 1" 중에서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crontab 

 

  - 시스템의 주기적인  cron 작업의 설정, 수정등을 하는 명령어
  -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데몬중의 하나인 crond 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명령어
  - crond 데몬은  /etc/rc.d/init.d/crond 의 스크립트에 의해 시작, 종료, 재시작될수 있음

  - crond 데몬
     - /etc/crontab 파일
     - /etc/rc.d/init.d/crond 스크립트
     - /var/spool/cron 디렉토리내의 크론설정파일들

 

crontab -e  크론탭 수정

crontab -l   크론탭 리스트

 

명령어 위치 : /usr/bin/crontab
사용형식     : crontab [ -u 사용자id ] 파일
                   crontab [ -u 사용자id ] { -l | -r | -e }

 

Crontab file
Crontab syntax :
A crontab file has five fields for specifying day , date and time followed by the command to be run at that interval.

*     *     *   *    *        command to be executed
-     -    -   -  -
|     |     |   |    |
|     |     |   |    +----- day of week (0 - 6) (Sunday=0)
|     |     |   +------- month (1 - 12)
|     |     +--------- day of month (1 - 31)
|     +----------- hour (0 - 23)
+------------- min (0 - 59)

 

cat /etc/crontab
매시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 설정

01 * * * * root run-parts /etc/cron.hourly
  - 매일 매시 01분마다 /etc/cron.hour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매일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설정

02 4 * * * root run-parts /etc/cron.daily
 - 매일 새벽 4시 02분마다 /etc/cron.dai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매주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설정

22 4 * * 0 root run-parts /etc/cron.weekly
 - 매주 일요일 새벽 4시 22분마다 /etc/cron.week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매월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설정

42 4 1 * * root run-parts /etc/cron.monthly
 ->매월 1일 새벽 4시 42분마다 /etc/cron.month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 root 이외의 사용자에게 crontab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

  - /etc/cron.allow 파일에 사용자의 id를 등록


* 일반사용자의 crontab 명령어사용을 제안하고자 한다면
  - /etc/cron.deny 파일에 사용자의 id 를 등록


 

* cron 설정하는 방법

 40 3 * * * root /home/mysql/mysql_backup.sh

 

 맨 앞의 40은 40분을 의미함 (분을 의미:0~59)

 그 뒤의 3은 03시를 의미함 (시를 의미:0~23)

 그 뒤의 * 은 매일을 의미함 (일을 의미:1~31)

 그 뒤의 * 은 매월을 의미함 (월을 의미:1~12)

 그 뒤의 * 은 매주를 의미함(요일을 의미 1:월요일~7:일용일)

 그 뒤의 root /home/mysql/mysql_backup.sh 는 root  계정으로 mysql_backup.sh을 실행하라는

 의미

 

 * 문자 : 각 필드에 해당하는 모든 숫자를 의미

 - 문자 : 각 필드자리에 하이픈 문자가 올수 있음

   ex) 일 필드자리에 11-15 (11,12,13,14,15일을 의미)

 ,문자 : 각 필드자리에 콤마문자가 올수 있음

   ex) 일 필드자리에 1,11,21 (1일,11일 21일을 의미)


[출처]
 리눅스 스케줄|작성자 이홍재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b 를 통한 디버깅 따라하기  (0) 2012.06.15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실무  (0) 2012.03.18
서버 백업하기 crontab  (0) 2012.03.12
Posted by blueasa
, |

서버 백업하기 crontab

Linux / 2012. 3. 12. 14:30
관리자 권한을 얻은 뒤 /etc/cron.daily/backup 이라는 파일을 만들어봅시다.

# sudo -i
# cd /etc/cron.daily/
# vi backup

다음과 같은 내용을 넣어줍니다.
#!/bin/sh
DATE=`date +"%Y%m%d"`
PREV_DATE=`date --date '5 days ago' +"%Y%m%d"`

BACKUP_DIR=/home/abcd_backup

/usr/bin/mysqldump -u MySQL사용자이름 -p비번 디비이름 > ${BACKUP_DIR}/abcd_mysqldump_${DATE}.sql
chown root.root ${BACKUP_DIR}/abcd_mysqldump_${DATE}.sql
chmod 755 ${BACKUP_DIR}/abcd_mysqldump_${DATE}.sql
rm -Rf ${BACKUP_DIR}/abcd_mysqldump_${PREV_DATE}.sql

tar -zcvf ${BACKUP_DIR}/abcd_backup_${DATE}.tar /home/abcd/public_html/* --exclude=/home/abcd/public_html/data/session/* --exclude=*.tar
chown root.root ${BACKUP_DIR}/abcd_backup_${DATE}.tar
chmod 755 ${BACKUP_DIR}/abcd_backup_${DATE}.tar
rm -Rf ${BACKUP_DIR}/abcd_backup_${PREV_DATE}.tar

(앗 줄바꿈이 이상하게 보이네요 ㅜㅜ)
물론 MySQL 사용자이름, 비번, 디비이름은 자기 사정에 맞게 넣으셔야 하고
서버 버전에 따라 mysqldump가 /usr/bin/에 있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각자 그건 맞춰서 하시고..
tar 압축에서 exclude 옵션은 쓸데 없는 세션은 제외하고, 혹시 여기저기 tar파일이 있다면 제외시키는 옵션입니다. 서버 복구나 이전에 그닥 필요 없으니까..
5일이 지난 파일은 하루에 한번씩 삭제해주기 때문에 5일치만 쌓이게 됩니다. (안 그러면 파일이 너무 많이 쌓이겠죠)

설정을 모두 마쳤다면, mod를 실행가능한 755로 바꿔주고, ${BACKUP_DIR} 이라고 지정한 폴더를 만들어주면 작업 끝!

# chmod 755 backup
# mkdir /etc/home/backup


혹시 문제가 발생한다면!
1. root 권한으로 이 작업을 했나요?
2. # sh /etc/cron.daily/backup 이라고 테스트로 실행시켜서 own이나 mod 오류는 없는지, 경로가 잘못된 건 없는지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b 를 통한 디버깅 따라하기  (0) 2012.06.15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실무  (0) 2012.03.18
리눅스 스케쥴  (0) 2012.03.12
Posted by blueas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