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Every unexpected event is a path to learning for you. blueasa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851)
Unity3D (894)
Programming (479)
Server (33)
Unreal (4)
Gamebryo (56)
Tip & Tech (189)
협업 (64)
3DS Max (3)
Game (12)
Utility (142)
Etc (99)
Link (34)
Portfolio (19)
Subject (90)
iOS,OSX (52)
Android (16)
Linux (5)
잉여 프로젝트 (2)
게임이야기 (3)
Memories (20)
Interest (38)
Thinking (38)
한글 (30)
PaperCraft (5)
Animation (408)
Wallpaper (2)
재테크 (19)
Exercise (3)
나만의 맛집 (3)
냥이 (10)
육아 (16)
Total
Today
Yesterday

일반적으로 랜선이라고 하면 그냥 단순하게 한종류만 있는 줄 알고 계실텐데, 실제로는 몇가지 골라야 하는 사항이 있습니다.

아래 각 항목분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카테고리(CAT)

2. 단선과 연선

3. UTP/STP/FTP 케이블

 

[ 랜선의 종류 - 1. 카테고리 ]

q1
카테고리, CAT., Category 라는 구분법은 간단히 말하면 대역폭(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으로 UTP 케이블의 성능을 구분한 구분법입니다.

대역폭에 따라 전송 속도 차이가 나서 같은 시간동안 전송하는 데이터 량이 많고 적음의 차이로 나타나며

일반 가정에는 100Mbps의 회선이 들어가기 때문에 전송속도 1Gbps 이상(CAT.5E 이상)을 지원하는 랜선을 사용하시면 최대 속도만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높은 카테고리의 케이블은 가정이나 공장, 사무실등의 내부 네트워크(내부 컴퓨터간의 연결)를 구축할 때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랜선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랜카드, 허브 등의 관련 장비가 기가비트를 지원하지 않으면 기가비트 속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당연히 구성장치 중 최저 성능을 발휘하는 장치에 속도가 고정됩니다.)

 

 

>>랜선피복에 자세히 보면 쓰여 있습니다.
q2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은 CAT.5E 이고요, 일부 CAT6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CAT.5E가 1Gbps를 지원하고 가정에는 100Mbps 회선이 들어가니까 이 정도 랜선이면 거의 최대속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TIP : 요즘(2016년)은 기가 인터넷이라고 가정/사무실에도 1Gbps 망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저는 서버 작업을 할 때 40MB/s ~ 80MB/s 의 속도가 나오면 1Gbps 의 라인이 연결되었고 문제가 없다고 가정합니다. (1GB 다운로드에 12초 ~ 24초 소요)

svc_speed_16.04.12

< 16/04/12 속도측정 예제. 노란색은 inbound traffic, 빨간색은 outbound traffic 을 나타냅니다 >

실제 인터넷 속도는 하드디스크의 속도에 고정이 됩니다. (SSD 파일복사 인 경우 최대 200MB/s, SATA 인 경우 최대 120MB/s 정도 됩니다.)

 

서버작업을 할때 이 이상의 속도를 원할 때는 FC케이블 (Fiber Channel Cable) 이라는 광케이블을 사용합니다.
q3

[ 랜선의 종류 - 2. 단선과 연선의 차이 ]

q4
랜선 안에 있는 심선의 단선과 연선의 차이점도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q5
UTP 케이블(랜선) 속의 심선(구리선)이 한 가닥으로 이루어져있으면 단선, 여러가닥이 뭉쳐져서 되어있으면 연선입니다.

 

단선 - 한가닥의 구리선, 연선보다 유연성이 떨어짐. 1가닥이라 작업하기 편리하고 연선에 비해 저렴하다. 작업용으로 판매되는 케이블은 주로 단선이 많다.

 

연선 - 여러가닥(대략 7가닥)의 구리선, 단선보다 유연하여 휘거나 변형하기 좋아 엘리베이터 내부 같이 움직이는 장치에 사용하기 좋음.

여러 가닥이라 작업하기 어렵다. 그래서 완제품으로 판매되는 케이블이 많다.

 

>>시중의 대부분은 단선입니다. 둘의 성능의 차이는 없습니다. 성능의 단위는 CAT(카테고리)임.

 

 

[ 랜선의 종류 - 3. UTP 케이블/STP 케이블/FTP 케이블이란? ]

 

랜선의 각 명칭은 케이블 속의 심선(구리선)을 어떤 식으로 감싸고 있는지 실드 구조에 대한 명칭입니다.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TP 라는 단어는 Twisted pair의 준말이며 두 가닥의 케이블이 꼬여있다는 의미입니다.

(참조: http://en.wikipedia.org/wiki/Twisted_pair)

 

 

* UTP 케이블 (일반적으로 랜선 잘라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UTP 단선 cat.5e)
q6
UTP는 언실디드 트위스티드 페어(unshielded twisted pair cable)의 준말이며,

 

‘실드가 없다’는 의미와, 두 선이 한 쌍으로 꼬여있다는 의미 입니다.

 

위의 사진은 넷메이트사의 UTP 케이블(CAT5e)의 사진입니다.

 

넷메이트사의 CAT5e 케이블은 안쪽에 차폐역할을 하는 명주실(있는 케이블도 있고 없는 케이블도 있음)이 들어있습니다.

 

* STP 케이블

 

STP(쉴드 꼬임케이블)는 FTP(호일 쉴드)와 S-STP(스크린 쉴드)의 종류가 있습니다.

 

STP는 실디드 트위스티드 페어(shielded twisted pair cable)의 약어이며,

FTP(foiled twisted pair) 또는 S-STP(Screened-shielded twisted pair) 등의 차폐가 되어있는

케이블들을 지칭하는 말인데

차폐의 종류는 알루미늄 호일 FTP, 편조쉴드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FTP 케이블
q7
FTP 케이블은 (foiled twisted pair)의 약어입니다.

 

UTP 케이블과 달리 8가닥의 케이블 말고도 어스선(접지선)이라고 하는 선이 있고

 

외부의 전선 피복 안에 호일로 한번 감싸져 있는 구조입니다.

 

위의 사진은 Cat5e FTP 케이블입니다.

 

 

좀 자세히 보기 위해 큰 사진을 구글에서 찾았습니다.

 

* S/FTP(S-STP) 케이블
q8
S-FTP, S/FTP 케이블은 (Screened shielded twisted pair) 의 약어입니다.

 

안쪽에 꼬여있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에도 각각 실드가 되어있고 전부 모아서 한번 더 실드한 뒤 피복이 있는 형태입니다.

 

특히 피복아래 있는 실드는 편조실드로서, 실선이 그물처럼 촘촘히 짜여있는 구조입니다.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케이블은 저렴한 CAT.5나 CAT.6 사양의 UTP 케이블이며

 

편조쉴드나 은박쉴드가 추가된 FTP, STP 케이블은 노이즈를 방지하는 기능이 UTP 케이블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현상이나 누전으로부터 안전합니다.

 

참조 : (http://blog.naver.com/kwshop88/100186208206)

 


위는 랜선의 종류에 다해서 설명한 것이고
아래는 같은 약어인(FTP, STP) 의 통신규약 종류에 대해서 설명한 것입니다.

 

올해(2014년) LG U+ 면접 질문으로 FTP와 STP가 동작하는 통신모델 계층을 설명하라 라는것이 나왔다고 합니다.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응용규약이기때문에 Application Layer에서 동작하고요.

STP(Spanning Tree Protocol)는 Datalink Layer에서 동작하는 것이고 router 장비의 loop를 막기위해 한쪽방향을 블락시키는 프로토콜입니다.
Spanning Tree를 만들면 Cycle이 없기 때문에 장비간 루프가 차단됩니다.

U+ 면접 볼 건 아니지만 궁금해서 찾아봤음.

참조 : http://ko.wikipedia.org/wiki/Ftp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

참조 : http://ko.wikipedia.org/wiki/%EC%8B%A0%EC%9E%A5_%ED%8A%B8%EB%A6%AC_%ED%94%84%EB%A1%9C%ED%86%A0%EC%BD%9C (STP;신장 트리 프로토콜)



[출처] https://blog.lael.be/post/50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

UnityAds에는 보상형광고와 일반형광고 두가지가 있습니다.

일반형과 보상형의 차이는 스킵버튼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광고를 스킵할수 있는지 없는지의 차이 입니다.

일반형으로 설정시(아무런 설정하지 않으면 일반형이 기본값입니다) 사용자는 5초후 광고 스킵 버튼이 활성화 되어5초후 부터 광고를 스킵할수 있습니다.
(5초 이외에 원하는 시간으로 설정 가능)

하지만 보상형으로 설정시 스킵버튼이 나오지 않아 사용자는 무조건 광고를 끝까지 보아야 합니다.사용자가 무조건 광고를 끝까지 보게 되므로 수익을 얻을 가능성이 좀 더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상형 광고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게임을 추가하여 게임ID가 생성되면, 하기와 같이, 해당 게임ID에 기본적으로 일반형광고 ID와 보상형 광고 ID가 2가지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PictureZone은 현재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스크린샷 2015-07-21 오후 1.28.27

이 아이디를 사용하여 보상형 광고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보상형 비디오로 설정하는 방법 가이드 입니다.

1. Code examples for Unity Ads package

Show 의 Parameter로 zoneid를 주면 됩니다.

Advertisement.Show(“rewardedVideoZone”);

만약 일반형광고를 원한다면, 다음과 같이 zoneid를 설정하지 않거나 null을 넘기면 일반형 광고로 설정됩니다.

Advertisement.Show();

2. Code examples for native iOS

IOS NATIVE SDK로 할때는, A) 항상 기본형을 사용하거나 B) 항상 show를 보여주기 전에 setZone(“”)을 합니다.

if ([[UnityAds sharedInstance] canShow]) {   
               [[UnityAds sharedInstance] setZone:@”rewardedVideoZone”];
        [[UnityAds sharedInstance] show:….];

}

3. Code examples for Android

Andorid NATIVE SDK로 할때는, A) 항상 기본형을 사용하거나 B) 항상 show를 보여주기 전에 setZone(“”)을 합니다.

if(UnityAds.canShow()){   
   UnityAds.setZone(“rewardedVideoZone”);   
   UnityAds.show(options); 
}

만약 광고를 보여주는 곳 마다 ad placement id를 다르게 설정하여 광고별로 성과를 알고 싶다면,하기와 같이 ad placement id를 생성한 후 사용하면됩니다.
unityads.unity3d.com/admin 페이지의에서   게임 > 게임 선택 > 수익화 설정> 고급설정 광고 게재 위치 옆 +새 광고 게재 위치 추가 버튼 클릭

+새광고 위치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화면이 나옵니다.

스크린샷 2015-07-21 오전 10.07.54

보상형 광고로 선택합니다.
보상형 광고로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가 광고를 스킵할 수 없습니다. 혹시 추가적으로 원하시는 옵션이 있으시면 선택후 저장하시면 됩니다.

저장 후 다음과 같이 추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rewardedvideozone

그리고 개발하시는 게임의 코드상에서 해당 ZONE ID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즉 위의 캡쳐화면의 예제에서는 “199981428975268”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Advertisement.Show(“199981428975268″);

또한 참고로, 현재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추가된 zone id 목록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zoneid를 추가하였는데도 목록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 크롬으로 확인해주세요.



[출처] http://www.unityads.co.kr/?p=1285

반응형

'Unity3D > 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 [Unity3D] Google AdMob 연동하기  (0) 2018.01.08
Unity에서 ADID・IDFA 얻기  (0) 2017.11.28
[Unity] Vungle Plugin 설치  (0) 2016.07.26
[Unity] Google AdMob Plugin 설치하기  (0) 2016.07.26
Unity Ads 연동  (0) 2016.07.26
Posted by blueasa
, |


[링크] http://www.badayak.com/entry/Snology-NAS-DS213j-Photo-Station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


[링크] http://extrememanual.net/category/tip-and-tech/synology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

[Server : NAS]

1) 패키지 센터-SVN 설치 및 실행

2) SVN Server 실행

2-1) 리포지토리 추가

2-2) 사용자 추가(id/pass)


[Client]

3) SVN Client(TortoiseSVN 등)에서 'Check Out'

4) URL : svn://nas_address/repository_name

4-1)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 공유기 '포트 포워딩'에서 SVN port인 3690 포트를 열어줘야 된다.




[참조1] http://dev-x.tistory.com/127

[참조2] http://ds31x.blogspot.kr/2015/07/howto-synology-svn-server.html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

★. Source Tree ssh 공개키 개인키를 이용한 접속.

    0. 필요 조건.
        1. 공개키, 개인키를 생성한다.
        2. 공개키를 서버에 셋팅한다.
        3. 개인키를 Source Tree (Git Client)에 설정한다.

    1. 공개키, 개인키 만들기 (Window)
            : http://backlogtool.com/git-guide/kr/reference/ssh.html
              http://git-scm.com/book/ko/v1/Git-서버-SSH-공개키-만들기
        1.1. "Putty Key Generator" 실행 (없으면 다운로드 )
        1.2. "Generate" 버튼 클릭
        1.3. 영역에 진행바가 꽉찰때까지 마우스를 움직인다.
        1.4. "Save private key" 버튼 클릭 ppk 파일 저장.
        1.4. "Public key for pasting into OpenSSH authorized_keys file"의 정보를 복사한다.

        ※ 리눅스 참고 ( http://yoo454.tistory.com/entry/Git-Source-Tree-설치-간단한-사용방법 )
            $cd ~/.ssh
            $ssh-keygen -t rsa -C "mymail@gmail.com"
            - ssh key 생성 위의 메일은 본인 메일 사용.
            id_rsa.pub 파일을 텍스트 편집기로 열어 내용 확인 ( Public key )

    2. 공개키를 authorized_keys에 추가 (서버 설정)
            : http://git-scm.com/book/ko/v1/Git-서버-서버에-설정하기

        2.0. ssh root@servierip

        2.1.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Synology nas 기준
                cd /var/services/homes/git
                mkdir .ssh

        2.2. authorized_keys를 열어 위에서 복사한 Public Key룰 맨 마지막줄에 붙여넣는다.
                vi authorized_keys

            - 파일로 존재할경우.
                cat /tmp/id_rsa.john.pub >> /var/services/homes/git/.ssh/authorized_keys

    3. 개인키 Source Tree 설정.
        3.1. 메뉴 : "Tools"-"Options" 선택
        3.2. SSH Client Configuration
             - SSH Key : .ppk 선택(개인키)
             - SSJ Client : OpenSSH 선택

        3.3.Source Tree에 Remote Repository 연결하기
            1. 상단의 "Clone/New" 아이콘 버튼 클릭.

            2. "Clone Repository" 탭 선택

            3. "Source Path / URL" 
                ■ git 주소 형식 : ssh://userid@serverip[:port]/경로/경로1
                                : ssh://git@nasip:port/var/services/homes/git/repo/test.git



[출처]

http://softm.tistory.com/entry/Source-Tree-ssh-%EA%B3%B5%EA%B0%9C%ED%82%A4-%EA%B0%9C%EC%9D%B8%ED%82%A4%EB%A5%BC-%EC%9D%B4%EC%9A%A9%ED%95%9C-%EC%A0%91%EC%86%8D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

★. Source Tree에 Remote Repository 연결하기
    1. 상단의 "Clone/New" 아이콘 버튼 클릭.

    2. "Clone Repository" 탭 선택

    3. "Source Path / URL" : ssh://git@nasip:port/var/services/homes/git/repo/test.git

    4. 비밀번호 입력창에 비밀번호 입력.



[출처]

http://softm.tistory.com/entry/Source-Tree%EC%97%90-Remote-Repository-%EC%97%B0%EA%B2%B0%ED%95%98%EA%B8%B0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

★. Git Repository 생성 :http://evoue.tistory.com/40
    1. nas접속.
        ssh root@nasip

    2. Repository 디렉토리 생성
        cd /var/services/homes/git
        mkdir -p repo
        cd repo
        mkdir test.git
        git init --bare

       ※ 설명
            1. repo/test.git 디렉토리 생성.
            2. git레포지터리 초기화 : 빈 git영역을 생성한다.

    3. git사용자에게 권한 부여.
        chown -R git:users ./repo



[출처] http://softm.tistory.com/entry/Git-Repository-%EC%83%9D%EC%84%B1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

★. Synology Nas Git 설치 :http://evoue.tistory.com/40

    0. Git를 이용하기 위한 필요 조건.
        1. SSH 서비스 활성화.
        2. "사용자 홈 서비스" 활성화.
        3. "git" 사용자 추가. ( git이라는 이름을 꼭 이용할 필요는 없다. )
        4. Git Server를 설치한다.

    1. SSH 설정.
        1.1. "제어판"-"터미널 및 SNMP".
        1.2.  "SSH 서비스 활성화" 체크 선택.
        1.3.  "적용" 버튼 클릭.

    2. 사용자 홈 서비스 활성화.
        :> /var/services/homes/git 디렉토리가 생성됨.
        2.1. "제어판"-"사용자".
        2.2. "고급"탭 선택.
        2.3. "사용자 홈 서비스 활성화" 체크 선택.

    3. git 사용자 생성 및 설정.
        3.1. "제어판"-"사용자".
        3.2.  "생성"-"사용자 생성" 클릭.
            - 이름          : git
            - 패스워드      : (정하세요~)
            - 패스워드 확인 : (정하세요~)
        3.3.  "다음" 버튼 클릭.

    4. "패키지센터"로 이동.
        4.1. "Git Server" 설치.
        4.2. 열기
            - 사용자 리스트가 표시됨.
                - "git" 사용자  "접근허용" 체크



[출처] http://softm.tistory.com/entry/Synology-Nas-Git-%EC%84%A4%EC%B9%98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

Synology Nas에 Git 설치하기

최근 개발소스를 SVN에서 Git으로 전환하기 위해 준비하던 중,

현재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Synology NAS에서 Git 서버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얻고,

구현해 보았다. 구글링을 통해서 여기 저기 검색해 가며 구축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DSM 4.3 버전 이상을 사용중이라면, 패키지 센터를 통해 Git Server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필자의 작업환경 : MacBook Pro Retina 13’, Mavericks, Synology Nas DS212J+

 

1. SSH 설정

Git 서버를 활성화 하려면 제어판 - 터미널 - SSH 서비스를 먼저  활성화해야한다.

 Screen Shot 2014 02 04 at 4 53 11 PM

 

2.  사용자 계정 생성

DSM에서 Git 서버를 위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한다. 대부분 git이라는 사용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Admin 계정이나, Root 계정을 통해 git service를 이용하는 것은 추천되는 방법이 아님.)

  Screen Shot 2014 02 04 at 12 48 02 PM

Repository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 홈을 활성화 한다.  잠시 후 SSH를 통해 접속하였을 경우,

사용자 계정의 Home디렉토리가 필요한데, 처음에 해당 옵션을 켜지 않아, Home디렉토리를 찾을 수 없었다. 

 

  Screen Shot 2014 02 04 at 12 48 25 PM

사용자 홈이 활성화 되면, 파일 스테이션 및 터미널에서 확인이 가능해진다.

 

3. Repository 디렉토리 생성

git 사용자의 경우, ssh 및 디렉토리 설정 등의 권한이 없기 때문에, 기본적인 Repository 생성을 위해서는

Root 계정이나, Admin계정을 이용한다.  필자의 경우 Admin 계정으로 진행하면서, 소유권 이전 시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Root 계정으로 변경하면 해당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시스템의 터미널을 통해서 Root 계정, SSH서비스로 NAS에 접속한다.

> ssh root@nas ip

 

git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 후,  원하는 이름으로 repository를 만든다.

 > cd /var/services/homes/git 

 

디렉터리 생성 후, 먼저 Git 설정을 한다.

> mkdir -p ./repo/sample

> cd ./repo/sample

 

> git init —bare  (텅빈 리모트 저장소 환경을 위한 기본옵션)

ls 명령어를 실행해 보면, git 기본항목들이 생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소유권은 Root 계정에 속해 있다.

 

다시 repo 상위로 이동하여, 소유권을 이전해 준다.

> chown -R git:users ./repo

Screen Shot 2014 02 04 at 5 14 38 PM

 

소유권이 git 사용자로 이전되면, 모든 준비가 끝난 것이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Source Tree 연결, XCODE 설정에 대해 작성하겠다.



[출처] http://evoue.tistory.com/40

반응형
Posted by blueas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