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후지TV 노이타미나 방영작 (2011년 2분기) | ||||
프랙탈 방랑소년 | → | C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 → | 토끼 드롭스 NO.6 |
- 이 항목은 아노하나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다.
![anohana_logo.gif anohana_logo.gif](https://z.enha.kr/http://rigvedawiki.net/r1/pds/anohana_logo.gif)
あの日見た花の名前を僕達はまだ知らない。
Anohana: The Flower We Saw That Day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anohana_logo2.jpg anohana_logo2.jpg](https://z.enha.kr/http://rigvedawiki.net/r1/pds/anohana_logo2.jpg)
1. 개요 ¶
권수 | 초동 | 누계 | 합계 |
1권 | 31,069(*7,508) | 37,338(*9,136) | 46,474 |
2권 | 23,727(*4,643) | 27,288(*5,319) | 32,607 |
3권 | 21,839(*4,192) | 24,943(*4,921) | 29,864 |
4권 | 19,796(*3,787) | 23,197(*4,554) | 27,751 |
5권 | 19,774(*3,812) | 22,402(*4,355) | 26,757 |
6권 | 19,676(*3,819) | 21,871(*3,819) | 25,690 |
뉴타입 애니메이션 어워드 2011에서는 배경음악, 주제가, 시나리오, 촬영, 감독, 작품 부문에서 2위에 올라, 2위에 오른
3.2. 조연 ¶
- 야도미 아츠시(宿海 篤) - 성우 : 오가타 미츠루
진타의 아버지. 아내를 잃고 홀로 키운 아들이 수험에 실패하고 히키코모리가 되었으니 오죽 가슴이 아프겠냐만 그럼에도 미소를 잃지 않는 사람 좋은 아저씨. '귀엽다'는 말을 즐겨 쓴다. 아들을 부를 때 '진타' 또는 '진타군'을 번갈아 쓴다.
동네에서 아들에 안 좋은 소문[5]이 나는 것을 주변 사람에게서 들었지만 이미 한 학기를 쉬었던 아들을 곁에서 지켜봐왔던 터라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보통의 아버지였다면 귀싸대기를 날렸을테지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이미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비밀이라고 할 것은 없었지만 대머리였다. 하지만 이것은 아내를 일찍 사별하고 진타를 홀로 키워온 그의 인생역경 중 하나. 그리고 그 사실이 아내의 기일에 밝혀진 것은 의미심장하다.최근 같은 회사에서 제작한 다른 애니에서 직업이 밝혀졌다 - 야도미 토코(宿海 塔子) - 성우 : 오오하라 사야카
진타의 어머니. 작중 현재 시점에서는 이미 사망한 상태이다. 생전에는 찐빵을 만들어줬던 적이 있었다. 물론 지금은 이 찐빵을 제대로 만들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멘마가 시도했지만 당연히 실패(…). 사실 이 찐빵에는 비밀이 있는데, 토코는 요리 솜씨가 없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밀가루와 베이킹파우더 등의 제대로 된 재료로 만든게 아니라 시판되는 핫케이크 가루로 만든 것이었다. 심지어 핫케이크 봉지 뒷면에 찐빵 만드는 법이 고대로 적혀있단다. 아버지로부터 진실을 들은 진타는 어머니가 의외로 대충사는 사람이었다는 사실에 황당해했다. 사실은 꽤 덜렁대는 사람이었던 듯?
병에 걸린 뒤 진타가 듬직한 척 하려고 들어 사이가 서먹해진다. 멘마가 병문안을 왔을때 환생 이야기를 해주며 입원한 이후 진타가 눈물을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 안타까워 했다. - 혼마 마나부(本間 学) - 성우 : 야스무라 마코토
멘마의 아버지. 무뚝뚝한 성품으로 아들인 사토시와 사이가 안 좋은 듯 보이며. 딸의 사망 이후 그 방을 치워 딸의 흔적을 지워버렸다. 이후 아내의 정체된 상태를 진심으로 이해하고 보듬어 주려는 모습을 보이며 멘마의 죽음을 이해하고 그 슬픔을 가족들이 나눠 가지자고 말한다. 아, 좋은 아버지. - 혼마 이레네(本間 Ирене[6]) - 성우 : 오오우라 후유카
멘마의 어머니. 일본인과 러시아인의 혼혈.[7] 멘마가 좋아했던 카레를 할 때마다 불단에 매번 공양하고 있다. 멘마의 집을 찾아온 진타와 친구들을 반갑게 맞이하지만 이는 겉치레일 뿐, 사실은 딸은 죽었는데 함께 놀던 친구들은 잘컸다는 사실에 울분을 토한다. 사토시의 말에 따르면 멘마의 죽음에 충격을 받고 집밖에도 나가지 않았다는 모양.
그러나 사토시가 그동안 쌓아왔던 서운함을 토로하고, 그만 딸을 놓아주자는 남편의 말에 오열한 뒤 옛 상처를 털어내고 초평화 버스터즈가 준비한 불꽃놀이를 먼 곳에서 지켜본 후 가볍게 감사를 표시한다. 1년 후에는 초평화 버스터즈의 멤버들에게 멘마의 기일에 찾아오라는 말을 전해주라고 사토시에게 말할 정도로 마음이 많이 풀린 모양이다. - 혼마 사토시(本間 聡志) - 성우 : 미즈하라 카오루
멘마의 동생. 부모님에게 매우 삐딱하게 군다. 아버지에게 삐딱한 이유는 나오지 않았으나, 어머니는 멘마가 죽은 뒤 실의에 빠져 집밖에도 나가지 않으며, 자신은 신경도 쓰지 않는 것에 크게 실망해서 그렇다. 심지어 어머니라고 부르지도 않는다. 마지막에는 그동안 쌓아왔던 서운함을 토로하며 관계가 회복될 듯한 모습을 보인다. 1년 후에는 키가 부쩍 커서 진타와 거의 비슷해졌다. 진타를 '진타 선배'라고 부르는데, 진타는 마음에 안 드는 모양. 진타에게 "선배가 성장이 멈춘거 아닌가요?"란 드립을 쳤다. 어머니와의 관계는 많이 원만해진 듯. - 하루나(春菜) - 성우 : 미즈하라 카오루
- 아키(亜紀) - 성우 : 마키노 유이
둘다 나루코의 친구, 속칭 노는 학생들이라고 생각하면 간단. 나루코를 대하는 태도를 보면 어째 둘 다 별로 친구같지도 않고 그냥 어울려다니는 애들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걱정해주는 묘사가 있는 걸 보면, 모범적이지는 않아도 친구로는 여기고 있는 모양이다. 마지막화에서 나루코에게 눈물을 보이게 한 진타에게 사정없이 츳코미를 걸어댄다.그냥 손수건 돌려주려 한 것 뿐인데.
4. 제작진 ¶
- 원작 - 초평화 버스터즈(超平和バスターズ)
- 감독 - 나가이 타츠유키
- 캐릭터 디자인 및 총작화감독 - 다나카 마사요시
- 프롭 디자인 - 히야미즈 유키에
- 아트 어드바이저 - 이시가키 츠토무
- 음악 - REMEDIOS
- 치프 프로듀서 - 시미즈 히로유키, 야마모토 코지
- 애니메이션 제작 - A-1 Pictures
- 제작 - 아노하나 제작위원회(애니플렉스, 후지TV, 덴츠)
5.1. 오프닝 테마 ¶
- 푸른 책갈피(青い栞) - Galileo Galilei
- 발매일은 2011년 6월 15일. 4월에 방영을 시작했으며, 1쿨짜리 작품인데 2분기가 거의 끝나가는 시기에 오프닝 싱글이 발매되었다(…) 풀버전에서는 코러스가 추가된다.
9. 극장판 ¶
![anohana_movie.jpg anohana_movie.jpg](https://z.enha.kr/http://rigvedawiki.net/r1/pds/anohana_movie.jpg)
2012년 8월, 2013년 여름 개봉을 목표로 극장판이 제작된다는 정보가 발표되었다. 2013년 8월 31일 개봉.
포스터 재고가 남았는지 포스터와 티슈를 더 준다. 2월 말까지 관람객에게는 한국포스터,티슈1을 주고 3월초 관람객에게는 일본 포스터 티슈2를 준다.
일본판 극장 팜플렛을 애니플러스 홈페이지에서 팔고있다. 12000원 #
주 | 누계동원 | 누계흥행수입 |
1주 | 16만 1,225명 | 1억 9,817만 7,700엔 |
2주 | 34만 1,052명 | 4억 4,826만 5,200엔 |
3주 | 48만 6,694명 | 6억 4,681만 7,900엔 |
4주 | 57만 3,176명 | 7억 6,459만 4,000엔 |
5주 | 63만 358명 | 8억 4,401만 8,600엔 |
6주 | 67만 9,153명 | 9억 821만 600엔 |
7주 | 72만 933명 | 9억 6,455만 9,500엔 |
8주 | 미집계 | 미집계 |
9주 | 75만 4,341명 | 10억 929만 700엔 |
한국
누계동원 | 누계흥행수입 |
39,349명 | 281,962,500원 |
10. 게임 ¶
통상판 | 한정판 |
2012년 8월 30일, 한정판 9,800엔, 통상판 5,800엔으로 발매되었다. 한정판에는 드라마CD와 드라마CD의 대본, 안죠 나루코와 혼마 메이코의 전신 사이즈 포스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아노하나 게임 공식 홈페이지.
11. 기타 ¶
- 오리지널 애니의 특성때문인지는 몰라도 기존 작품들의 스샷이 여러 곳에서 등장하기도 했는데, 같은 제작사이거나 해당 각본가의 작품이거나라는 경우의 수가 존재한다.
- (6화) 세기말 오컬트 학원 - 제작사의 과거 프로젝트.
- (7화) WORKING!! - 제작사가 같다.
- (7화) 방랑소년 - 각본가 + 노이타미나 효과.
- (7화) 흑집사 - 각본가의 과거 작품.
- (7화) 우주쇼에 어서오세요! - 제작사가 같다.
그리고 가장 노골적이다 - (7,8화) 세키레이
- (극장판) 내 여자친구와 소꿉친구가 완전 수라장
- (극장판) 마기
- (극장판) 서번트X서비스
- 백괴사전에서는 일본어 원어 제목을 그대로 음차해 쓰고 있는데, 이는 일본어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말장난 때문이다. はな를 꽃을 뜻하는 花가 아니라 코를 뜻하는 鼻로 바꾸어 놓았고 '꽃'이 오역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멘마가 악당의 손에 코가 잘려 과다 출혈로 목숨을 잃었다고 되어 있으며, 진땅에게 코를 찾아 달라(…) 부탁했다고 되어 있다. 모에 그림체를 까는 경향이 있는 백괴사전의 분위기가 만들어낸 괴랄한 사례.
- 일본 마비노기 제휴상품으로 등장했다. 작안의 샤나, 강철의 연금술사다음인 3번째 애니메이션 제휴상품. 각자의 코스프레를 할수있는 옷하고, 멘마가 펫으로 등장할 예정. 그리고 유키아츠의 여장템도 '남캐용'으로 등장했다!
으아니 이게 무슨 소리요, 의사양반?! - 원래는 에로가 가미된 개그물로 기획되었다고 한다. 어째서인지 그게 틀어졌고. 안죠 나루코의 별명이 '아나루'로 남은 이유가 이것 때문일지도....
유키아츠의 상식 밖의 변태력도
![anohanapreero09.jpg anohanapreero09.jpg](https://z.enha.kr/http://rigvedawiki.net/r1/pds/anohanapreero09.jpg)
2009년 초기 판권 그림
- 2012 런던 올림픽 체조 금메달리스트 양학선 선수가 이 애니를 감명깊게 보았다며 추천하기도 했다.
능덕관련 기사 덕분에 각종 커뮤니티에서 오랜만에 아노하나에 대한 글이 올라오면 덧글에는 반드시 양학선 드립이 유행어 수준으로 나온다. 때문에 국내 더빙팬들은 애니 더빙 채널들이 양학선의 버프를 받아서 국내에도 더빙 방영을 했으면 좋겠다고 바라고 있다. - 일본에서 실제로 폭죽 따라했다가 화재가 발생했다고한다
투니버스에서 시달소와 함께 더빙을 한다믿으면 골룸고퀄리티라서 믿은 사람 많다...근데 현실은 이 채널마저 자막방영을 하고 있어 시궁창이고, 만일 이런 채널같은 곳에서 더빙하게 되었다간 작품이 작품이니만큼 초 헬게이트가 열릴 것이다. 아...- "젊은시절의 끝 되돌리다"라는 연극이 이 작품을 대놓고 표절해서 논란이 났다.
자존심도 없나?# 결국 사과문을 올리고 공연을 취소하였다.# - 어린 시절의 소꿉친구들이 고등학생이 된 후의 시점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리틀 버스터즈!의 영향을 받았다는 의견이 있다. 특히 본작의 주인공 팀의 이름인 '초평화 버스터즈'가 '리틀 버스터즈'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와 유사하다는 것이 유력한 근거가 된다. 다만 두 작품 사이에 스토리 구성이나 캐릭터 조형에서 더 이상의 공통점은 별로 없다. 리틀 버스터즈!가 어린 시절부터 이어져온 우정을 재확인하는 과정에 가깝다면, 아노하나는 어린 시절에 무너졌던 관계를 고등학생이 된 현재에 와서 회복하는 과정에 가깝다.
본 문서와 하위 문서 또는 이 틀 아래에 있는 내용은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하지 않는다면 이 문서를 닫아 주세요.
- 전체적인 스토리가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와 묘하게 비슷하다. 일두 두 작품 모두 계절적 배경이 여름이고 죽은 여자 캐릭터가 여름이 오자 다시 환생(?)해서 친구와 가족에게 나타나고, 이후 여름이 끝나고 가을이 오면서 다시 사라진다. 또 사망한 캐릭터의 지인들은 사망한 캐릭터를 영원히 잊지 않도록 약속한다.
- [1] 2014년 2월 20일에 한국에도 개봉
- [2] 참고로 치치부에는 치치부 34관음 영장이라고, 실제 불교 성지순례길이 있다. 오프닝에도 지나가는 화면으로 등장한다.
- [3] '메가박스 일본영화제'가 CGV로 넘어가면서 바뀐 이름. 2010년 SICAF 때처럼 노이타미나 작품끼리 묶어서 각 1화씩만 상영한다.
- [4] 1위는 전부 마마마(...)
- [5] 늦게 귀가하며 학교간다고 속이고 다른 짓(아르바이트)을 한다.
- [6] 로마자로 쓰면 Irene.
- [7] 일본은 부부동성으로,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편 성을 따르는 편이다. 그런데 1화 끝부분에서 '이레느'를 Irene이 아니라 Ирене라고 표기한 것 때문에 그냥 러시아인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이 많았다. 이 당시에는 위키에도 그냥 외국인이라고 써놨었고.
- [8] 원곡은 ZONE의 히트곡이며 가사는 헤어지는 친구가 10년 뒤 8월에 만나자는 내용이다. 참고로 2011년은 ZONE의 메이저 데뷔 10주년이 되는 해이며, 싱글이 발매된지 10년이 된다. 오늘의 5학년 2반 TVA 첫 번째 엔딩곡으로도 리메이크가 된 바 있으며 부르는 사람은 겹치지 않으므로 버전을 비교해서 들어보는 것도 좋다. 그리고 이 애니도 2011년 4월에 만들어졌다.
노린건가!! - [9] 과거회상이 너무 빈번한 경향이 있다. 현재인지 과거회상인지 헷갈린다면 언제나 회상의 중심에 있는 진땅의 티셔츠 디자인을 보자. 알기 쉬운 디자인이라 금방 알아챌 수 있다.
마치 애초에 이러한 플롯의 극장판을 염두에 두고 디자인한 것처럼 - [10] 국화과의 잡초, 북미산 귀화식물. 한일병탄 전후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밭의 잡초로 널리 퍼져서 이름이 나쁘다. 하지만 이젠 흔한 추억속의 아름다운 들꽃의 대표일 뿐. 달걀꽃이라고도 한다. 영화 왕의 남자중 명장면
'Animation >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파녀와 청춘남(Denpa Onna to Seishun Otoko) (0) | 2014.12.27 |
---|---|
A채널 (0) | 2014.12.27 |
Steins;Gate (0) | 2014.12.27 |
[극장판] 강철의 연금술사 밀로스의 성스러운 별 (0) | 2014.12.27 |
냥파이어 (0) | 201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