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제작사 | 선라이즈 |
방영시기 | 2006. 10. 5 ~ 2007. 3. 29 R2 : 2008. 4. 6 ~ 2008. 9. 28 |
감독 | 타니구치 고로 |
원안 | 오코우치 이치로, 타니구치 고로 |
각본 | 오코우치 이치로, 요시노 히로유키, 노무라 유이치 |
캐릭터 디자인 | CLAMP(원안), 키무라 타카히로 |
메카닉 디자인 | 테라오카 켄지 外 |
음악 | 나카가와 코타로, 쿠로이시 히토미 |
기획 | 타케다 세이지 外 |
분량 | 각 25화 |
주관방송국 | MBS, TBS 계열 방송국 |
1. 개요 ¶
2. 작품의 특징 ¶
3. 줄거리 ¶
4. 인기 및 수상 내역 ¶
4.1. 수상 내역 ¶
-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제 12회 애니메이션 고베 작품상 TV 부문
제 1회 성우 어워드 남자 부문 : 후쿠야마 쥰
-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 R2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2009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 우수 작품상 TV 부문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2009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 각본상 : 오코우치 이치로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2009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 성우상 : 후쿠야마 쥰
2011년 재팬 엑스포 어워드 오리지널 작품상
5.1. 비판 ¶
5.2. R2의 상업적 성과에 대한 논란 ¶
- 본래 심야 애니메이션이었던 관계로 매니아 층에는 잘 알려졌지만, 일반 시청자 층에는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기는 1기를 모르는 사람이 보고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신규 시청자의 확보에 실패했다.
- 방송시간대를 토요일 6시로 배정받을 예정이었지만 방송국 사정상 일요일 5시로 변경되었다. 가족이 함께 즐기는 일요일 저녁 시간대의 프로그램으로서는, 코드 기아스의 표현 수위는 너무 높다. 그래서 외면받게 되는 것이다.
- 본래 일요일 5시 시간대는 애니메이션이 방송하던 시간대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 시간에 애니메이션을 보는 습관"이 없는 사람들을 이 시간대로 끌어오기에 코드 기아스는 그렇게까지 대중성이 있는 시리즈가 아니었다.
- 실제로 관동 지역의 시청률조사는 400세대라고한다. 이건 너무나 한정적인 수치이다. 하지만 한국이나 일본의 다른 모든 프로그램의 시청률도 비슷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이것은 이유가 되기 어렵다.
- 관서 지방에서의 시청률은 1화(5.2%), 2화(3.8%), 3화(3.5%), 4화(3.3%)라고 한다. 원래 관서지방은 전체적으로 관동 지방보다 시청률이 높은 경향이 있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상대적으로 관서 지역에서 선전했던 것은 관동 지역과는 달리 재방송이 여러 차례 되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 R2 방영전 발매된 게임과는 성격이 너무 달라 신규 시청자 유치에 실패했다.
5.2.1. 실제 상업적 성과 ¶
6.1. 제목 표기 ¶
6.2. 기타 ¶
8. 한국 방영 및 정식발매 ¶
9.2.1. 황족 ¶
- 황제 샤를 지 브리타니아
- V.V.
- 황비 가브리에라 라 브리타니아 (소설판 한정. 클로비스 라 브리타니아의 어머니)
- 황비 마리안느 비 브리타니아
- 제1황자 오듀세우스 우 브리타니아
- 제2황자 슈나이젤 엘 브리타니아
- 제3황자 클로비스 라 브리타니아
- 제11황자 를르슈 비 브리타니아
- 제1황녀 기네비어 도 브리타니아
- 제2황녀 코넬리아 리 브리타니아
- 제3황녀 유페미아 리 브리타니아
- 제5황녀 카린느 네 브리타니아
- 제12황녀 나나리 비 브리타니아
9.2.2. 나이트 오브 라운즈 ¶
- 1 : 비스마르크 발트슈타인
- 2 : 공석
- 3 : 지노 바인베르그
- 4 : 도로테아 에른스트
- 5 : 공석
- 6 : 아냐 아르스트레임
- 7 : 쿠루루기 스자쿠
- 8 : 공석
- 9 : 노네트 에니아그램
- 10 : 루키아노 브래들리
- 11 : 공석
- 12 : 모니카 크루셰프스키
11.5. OST ¶
OP | ED | |||||
R1-1 | 『COLORS』 | 『용협청춘구』 | ||||
원제 | 勇俠靑春謳 | |||||
가수 | FLOW | ALI PROJECT | ||||
R1-2 | 『해독불능』[13] | 『모자이크조각』 | ||||
원제 | 解讀不能 | モザイクカケラ | ||||
가수 | JINN | SunSet Swish | ||||
R2-1 | 『오투』 | 『행복의 색깔』 | ||||
원제 | O2~オ-·ツ-~ | シアワセネイロ | ||||
가수 | ORANGE RANGE | ORANGE RANGE | ||||
R2-2 | 『World End』 | 『나의 아름다운 악의 꽃』 | ||||
원제 | わが臘たし惡の華 | |||||
가수 | FLOW | ALI PROJECT |
12. 크로스오버 작품 참전 ¶
12.1. 제2차 슈퍼로봇대전 Z 시리즈에서의 코드 기아스 ¶
- [1] 작 중에서 "주역 기체"의 위치에 있는 것은 랜슬롯이지만, 랜슬롯은 주인공인 를르슈가 아닌 부주역 스자쿠의 기체이므로 엄밀한 의미로는 주인공 로봇이라 할 수 없다. 또한 를르슈도 일단 전용 기체인 가웨인, 신기루에 탑승하지만 이 두 기체는 건담 시리즈의 그것과 같은 작품을 대표하는 간판 주인공 로봇의 이미지가 아니라 주연이 그냥 작 중에서 있으니까 탑승하는 기체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기존 로봇 애니메이션이 주인공 캐릭터와 주인공 로봇의 더블 히어로 체제였던 것에 비해 이 작품은 오로지 를르슈라는 주인공 캐릭터 한 명의 싱글 히어로 체제라는 점이 이채롭다.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로봇 애니메이션은 이 외에도 장갑기병 보톰즈가 있으나, 보톰즈의 경우는 스코프 독이 작품을 대표하는 일종의 간판 기체 겸 이미지 캐릭터로 자리잡았다. 이것을 증명하는 것이 바로 처참한 를르슈의 대 KMF전 전적. 자코 상대로는 가볍게 학살이 가능할 정도로 높은 스펙을 가진 가웨인이나 신기루를 타고선 네임드만 만났다 하면 처참하게 발린다(...). 결국 를르슈의 지략 플레이로 일발역전 혹은 홍련 등의 개입으로 승리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라 어디까지나 메인은 를르슈, 탑승기는 지휘관용 전용기 이상도 이하도 아님. 이라는 공식이 성립. 앞서 언급된 스코프독이 키리코의 엄청난 기량(+운
+인과율조작)에도 불구하고 기체 자체의 부족함으로 인해 열세에 몰리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 [2] 이 시간대 대표작으로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블러드 플러스 등이 있다.
- [3] 특히 R2 중반부 에피소드는 1기에 비해 개연성이 부족하다고 평가받는다.
- [4] 여담이지만 코드 기아스의 원안을 클램프가 맡은 것에 대한 유력한 추측으로 코드 기아스 전에 방영했던 제가페인이 높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캐릭터 디자인으로 인해 실패를 겪었기에 제가페인의 실패를 교훈삼아 클램프에게 원안을 부탁한 것이라 알려져 있다.
- [5] 각 작품의 팬들이 어느 작품의 여파가 더 큰지에 대해 키배를 벌이는 일도 어렵지않게 찾아 볼 수 있다.
- [6] BD랭킹 자체를 2008년도 부터 실시하여 그 이전 작품들은 해당 안된다.
- [7] Geass 라는 것은 사람에게 어떤 일을 강제로 시키는 마법으로, 아일랜드 전설에 나오는 일종의 금제 주술 Geis에서 온 말이다. 언급된 형태와 같은 것은 D&D 3판에 등장한다. 네버윈터 나이츠의 두번째 확장팩에서 할라스터가 주인공에게 건 마법이 이것이다.
- [8] 다른 이유로는 영어를 일본어로 표기할 때 "ㅏ" 발음으로 표현된 것을 한국어로 바꿀 때 무조건 "ㅓ" 발음으로 고쳐버리는 경향이 있다.
- [9] 단, 망국의 아키토가 국내에 방영될 때는 '기아스'로 표기했다.
- [10] 원래는 애니박스에서 투니버스처럼 유성의 록맨을 방영할 기획처럼 했으나, 유성의 록맨과 마찬가지로 방영 수지가 굉장이 안 맞아서 기각해버린듯 하다.
- [11] 애니플러스는 기본적으로 동시방영작이나 일본 종영 직후 방영하는 최신작은 어쩔 수 없이 TV판으로 방영하지만, 일본에서 종영된 지 한참 지난 구작 같은 경우는 이미 DVD와 BD가 전권 발매되었기 때문에 무삭제판으로 방영한다. 다만 2013년 이후로는 안 그래도 엄격한 방송심의 규정이 더욱 강화되었기 때문에 학원묵시록 같은 동시방영작의 무삭제판 재방송은 더 이상 하지 않으며, 바케모노가타리와 같이 처음부터 구작으로 들여온 작품에 한해서만 DVD/블루레이판으로 들여온다. (그마저도 VOD 한정으로만 완전 무삭제로 내보낸다.)
- [12] 일본에서 1기 블루레이는 R2 DVD/BD 발매와 함께 나왔는데 같이 발매된 R2는 최종권에 DVD/BD 전권 수록 박스가 있었는데 황당하게도 1기 블루레이는 박스가 없었다! 그래서 열심히 블루레이를 모으던 팬들에게 실컷 욕을 먹었다. 아무래도 한참 뒤에야 나올 BD BOX를 기대해야 할 듯 싶다.
- [13] 그 또깡깡으로 유명한 노래 맞다(...)
- [14] 코믹스판을 보면 알 수 있듯, 로봇을 빼도 이야기 전체 진행에는 아무런 하자가 없다.
- [15] 스자쿠가 감시 중이라 기아스를 쓸 수 없는 상황.